카테고리 없음

정지용의 향수(鄕愁) 해설 - 김왕식

돌저귀 2016. 6. 12. 20:19



정지용의 향수 (해설)

 

1. 주제 : 고향에 대한 향수와 추억

2. 갈래 : 자유시, 서정시

3. 정지용의 향수 의 특징
(1) 토속적 시어와 감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향토적 정감을 표현함
(2) 후렴구를 통해 이미지의 통일성을 이루고, 그리움의 정서를 강조함

 

 

4. 정지용의 향수 구성
(1) 1연 : 평화롭고 한가로운 고향의 정경
(2) 2연 : 겨울밤 풍경과 아버지에 대한 회상
(3) 3연 : 꿈과 호기심으로 가득 찬 유년시절에 대한 회상
(4) 4연 : 누이와 아내에 대한 회상
(5) 5연 : 단란한 농가의 정겨운 가족의 모습

 

 

5. 정지용의 향수 이해와 감상
 근래 대중 가요로 만들어져 널리 회자되고 있는 정지용의 '향수'는 고향에 대한 회상과 그리움을 주정적 어조로 노래하고 있다. 고향 충북 옥천을 떠나 낯선 타국(他國)땅에서, 그것도 식민지 망국의 설움을 간직하고 생활하던 젊은 시인은 꿈에도 잊혀지지 않는 고향의 따스한 정경들을 떠올리며 그리움에 목이 말랐을 것이다. 그가 노래하는 고향의 정경과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어느 한 특정 지역에서만 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개천이 지줄대고’ ‘얼룩백이 황소가 금빛 울음을 우는 곳’이며 ‘짚베개를 돋워 고이시는 늙으신 아버지’가 계신 곳으로 우리 민족의 고향에 대한 보편적 정서와 부합된다. 그러므로 그의 향수는 그만의 향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이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공감대가 형성된 향수로 확산되게 된다.
   정지용의 '향수'는 음악의 반복 형식처럼 구성되었는데, 각 연 모두 ‘― 는(던) 곳’으로 끝맺고 있어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고향의 정경을 실감있게 제시하고 있으며, 그 뒤에 ‘―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라는 독백이 이어짐으로써 간절한 그리움을 반복, 강조하는 단순한 표현 기법을 통하여 감동의 극대화를 이루고 있다. 한편, 홀수 연은 고향의 정겹고 따스한 모습을, 짝수 연은 고향의 아픈 모습을 교묘하게 배합시켜 고향의 밝고 어두운 모습을 번갈아 보여 줌으로써 고향을 아름답게만 보는 것이 아니라, 푸근한 흙내음과 간난(艱難)한 삶의 고난이 함께 존재하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지줄대는’, ‘해설피’, ‘풀섶’, ‘함초롬’이라는 감각적 우리말 구사와 청각적, 시각적 이미지와 공감각적 이미지, 냉온 감각 등의 수준 높은 이미지 활용은 이 작품을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

 

[